언어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바다 운영자가 알려주는 언어학과 한국어교육학!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개념부터 방법론까지 논문 주제를 정하기 시작할 때, 자신의 연구가 질적 연구인지 양적 연구인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가. 왜냐하면 두 연구의 방법론을 알게 되면 누구나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라는 갈림길 앞에서 고민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두 가지 연구 방법론은 세상을 이해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각기 다른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어떤 방법론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연구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그 해석까지 모든 것이 달라질 수 있기에, 두 방법론의 본질적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논문 주제를 설정하는 것에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사회과학 및 어학 연구의 두 가지 큰 축인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핵심 개념을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은 무엇인지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 나아가 각 연구에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와 그 활용법까지 안내하여 여러분들이 자신의 연구 질문에 가장 적합한 길을 찾는 데 도움을 되길 바랍니다. 1. 양적 연구 (Quantitative Research)란 무엇인가? 양적 연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연구 대상을 수량화하고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 방법론입니다. 현상의 패턴을 파악하고,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거나, 특정 가설이 사실인지를 객관적인 수치로 증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 특징: 데이터: 숫자, 통계, 설문조사 점수 등 수치화된 데이터 분석: 통계적 분석 (빈도, 평균, 표준편차, 회귀분석 등) 접근법: 연역적 접근 장점: 결과의 객관성 확보, 다수의 표본을 통한 결과의 일반화 용이 예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시간(X)이 토픽(TOPIK)...
운영자
ㆍ
2025.09.12
ㆍ
추천
0
ㆍ
조회
162
운영자
ㆍ
2025.09.05
ㆍ
추천
0
ㆍ
조회
204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 페르디낭 드 소쉬르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며 그가 왜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라 불리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누구인가? 소쉬르로 불리는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는 1857년 11월 2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집안은 자연과학을 공부한 학자 집안으로 할아버지는 제네바 대학교의 지리학, 광물학 교수였으며 아버지 또한 지질학자로 미국과 멕시코에서 탐험하다가 스위스로 귀국하였습니다. 그래서 소쉬르는 어릴 때부터 학자처럼 연구하는 것을 좋아했고 부모님도 그에게 최고의 가정교사를 붙여줬습니다. 이 가정교사는 '선사언어학(언어학적 고생물학 paléontologie linguistique, linguistic palaeontology)'의 창시자로 언어학, 철학, 민족학으로 유명한 픽테(Pictet, A)였습니다. 소쉬르의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 픽테의 영향으로 자연과학 집안에서 태어난 소쉬르는 언어학을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14-15세에 당시 그가 알고 있던 세 가지 언어인 그리스어, 라틴어, 독일어 단어를 소수의 어근으로 줄이는 에세이(Essai pour réduire les mots du Grec, du Latin & de l'Allemand à un petit nombre de raciness)를 썼습니다. 그는 조음 기관의 특징에 따라 자음수를 그룹화했습니다(p, b, f, v = P; t, d, s, z = T 등등). 이 방법을 통해 얻은 모음과 자음의 관념(abstractions)은 12개의 3중 조합(KAK, KAT, KAP, TAT, TAP 등)이었습니다. 소쉬르는 이를 원초적 어근(proto-roots)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방법론은 6년 후 그의 연구, 논고(인구어에 있어서의 원시 모음체계론)를 위한 원시 인도 유럽어 모음을...
운영자
ㆍ
2024.05.22
ㆍ
추천
0
ㆍ
조회
1894
운영자
ㆍ
2024.05.22
ㆍ
추천
0
ㆍ
조회
5417
운영자
ㆍ
2024.05.22
ㆍ
추천
0
ㆍ
조회
1597
운영자
ㆍ
2024.05.22
ㆍ
추천
0
ㆍ
조회
2325
운영자
ㆍ
2024.05.22
ㆍ
추천
0
ㆍ
조회
2159
운영자
ㆍ
2024.05.22
ㆍ
추천
0
ㆍ
조회
897
한국어강사들의 기본적인 사회적 지위 보장을 위해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