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학

언어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바다 운영자가 알려주는 언어학과 한국어교육학!


>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 페르디낭 드 소쉬르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며 그가 왜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라 불리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누구인가? 소쉬르로 불리는 현대 기호학의 아버지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는 1857년 11월 2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집안은 자연과학을 공부한 학자 집안으로 할아버지는 제네바 대학교의 지리학, 광물학 교수였으며 아버지 또한 지질학자로 미국과 멕시코에서 탐험하다가 스위스로 귀국하였습니다. 그래서 소쉬르는 어릴 때부터 학자처럼 연구하는 것을 좋아했고 부모님도 그에게 최고의 가정교사를 붙여줬습니다. 이 가정교사는 '선사언어학(언어학적 고생물학 paléontologie linguistique, linguistic palaeontology)'의 창시자로 언어학, 철학, 민족학으로 유명한 픽테(Pictet, A)였습니다.   소쉬르의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 픽테의 영향으로 자연과학 집안에서 태어난 소쉬르는 언어학을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14-15세에 당시 그가 알고 있던 세 가지 언어인 그리스어, 라틴어, 독일어 단어를 소수의 어근으로 줄이는 에세이(Essai pour réduire les mots du Grec, du Latin & de l'Allemand à un petit nombre de raciness)를 썼습니다. 그는 조음 기관의 특징에 따라 자음수를 그룹화했습니다(p, b, f, v = P; t, d, s, z = T 등등). 이 방법을 통해 얻은 모음과 자음의 관념(abstractions)은 12개의 3중 조합(KAK, KAT, KAP, TAT, TAP 등)이었습니다. 소쉬르는 이를 원초적 어근(proto-roots)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방법론은 6년 후 그의 연구, 논고(인구어에 있어서의 원시 모음체계론)를 위한 원시 인도 유럽어 모음을...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651
한국어교육도 결국 언어교육이기 때문에 언어교육의 일반론이 적용됩니다.특히 한국어교육은 한국이 다문화사회에 접어들면서 대두되었기 때문에 역사가 짧습니다. 반면 다양한 이유로 다문화사회에 먼저 접어든 국가에서 언어교육과 언어습득에서 세분화된 외국어교육과 학습에 대한 많은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저희는 그 연구들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어교육 또한 제2언어 교육이라는 큰 틀의 언어교육에서 다른 나라의 언어교육 특히 영어교육 논문을 활용합니다.따라서 학위 과정 간에 해외 논문은 물론 외국에서 발행한 책을 대학교재, 전공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번역된 도서를 구매할 수도 있지만 전공책 원문을 본다면 더 이해가 잘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논문의 종류에 따른 발행기관논문이 발행되는 곳은 크게 두 곳을 들 수 있습니다. 첫째로 대학교/대학원입니다. 대학교와 대학원에서는 학사학위, 석사학위, 박사학위 취득을 위하여 학위 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대학교,대학원 교수들은 학생의 논문을 평가하여 학위 수여에 대한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때 학생이 제출하는 논문은 대학교를 통해 발행되며 해당대학교 도서관에서 소장하게 됩니다. 이런 논문을 학위논문이라 합니다.둘째로 학술지입니다. 유명학술지에서는 감독관을 두고 논문 투고를 받습니다. 한편 학술지마다 해당 국가 내에서와 전세계적인 명성이 다릅니다. 즉, 학술지끼리도 더 저명한 학술지와 그렇지 못한 학술지가 있으며 이에 따른 영향력도 다릅니다. 이는 학술지를 발행하는 학회의 구성원과 지금까지 발행한 논문의 품질 및 인용횟수 등으로 결정되는데요. 국내에서 이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곳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운용하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입니다. 또한 어떤 학회의 학회장이 누구인지 그 구성원은 어떻게 되는지 등도 고려하시면 됩니다. 이는 사람마다 조금의 견해 차이가 있을...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1676
결정적 시기 가설과 한국어교육한국어교육도 결국 언어교육이기 때문에 언어교육의 일반론이 적용됩니다. 특히 한국어교육은 한국이 다문화사회에 접어들면서 대두되었기 때문에 역사가 짧습니다. 반면 다양한 이유로 다문화사회에 먼저 접어든 국가에서 언어습득과 언어교육에서 세분화된 외국어교육과 학습에 대한 많은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저희는 그 연구들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결정적 시기 가설결정적 시기 가설이란?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는 언어 습득에 대한 연구에서 반드시 다루게 됩니다. 결정적 시기란 간단히 말해서 언어를 습득하기 쉬운 시기가 있으며 그 시기가 지나면 점점 더 언어 습득이 어려워진다는 어떤 시기를 말합니다. 이 시기는 생물학적인 시기 즉, 나이를 말합니다.언어습득 대부분의 이론처럼 결정적 시기에 대한 개념도 초기에는 모국어 습득에만 국한되어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모국어 습득에 실패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병리학적인 연구가 진행되면서 결정적 시기에 대한 가설이 대두되었기 때문입니다.시간이 지나며 제2언어 학습에 있어서도 생물학적인 시간표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제2언어 습득과 결정적 시기 가설정통적인 주장에 의하면 제2언어 습득에서 결정적 시기는 사춘기 즈음으로 봅니다. 그 이유는 결정적 시기 가설이 억양(Accent)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입니다.결정적 시기와 억양(Accent)의 관계는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도 발견됩니다.토마스 스코벨(Thomas Scovel 1988)의 연구에서는 이른바 사회 동물학적 결정적 시기가 다양한 포유류와 조류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을 검증합니다. 그의 연구에서 포유류나 조류도 인간처럼 사춘기에 무리, 공동체의 사회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같은 종끼리 서로 구분하여 종족 보존을 하기 위해 자신들만의 억양(Accent)을 발달시켰습니다. 따라서 사춘기에 억양(Accent)을 습득하는 것은 생물학적으로 내재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월시와 딜러(Walsh...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57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에 대해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한국어 발음교육의 필요성발음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다 보면 국가별 외국인들의 한국어 발음에 특징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한편 한국인이 한국어로 말할 때도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차이는 개인적인 습관이나 버릇에 따른 것으로 의미 전달이나 대화에 큰 오류를 야기하지 않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그 사람은 해당 습관이나 버릇을 이미 수정하였을 것입니다. 즉, 한국인이 가진 발음상 습관이나 버릇은 허용가능한 범위 내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한국사회에서 생활하는 것에 무리가 있으므로 수정을 할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의 잘못된 발음은 오류입니다. 오류는 반드시 의미전달이나 대화에서 고쳐야 하는 부분으로 그대로 둔다면 화석화되어 나중에는 고치기 힘들거나 못 고치게 됩니다. 오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살펴 볼 발음교육은 개인적인 습관이나 버릇이 아닌 언어학적인 측면 즉, 일반적인 발음 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국가별 한국어 발음에 특징이 있는 이유1. 물리적인 이유 / 신체적인 이유외국인의 한국어 발화에서 국가별 특징이 나타나는 이유는 아이가 태어나 자라면서 안면 근육은 물론 성대에 이르기까지 발음을 위한 신체 기관들이 국가별 언어에 최적화되어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는 언어를 배울 때 어른의 발화를 듣고 따라합니다. 이 과정에서 해당 언어를 발음하기에 필요한 근육들이 발달하게 되고 반대로 해당 언어에 필요없는 근육 혹은 덜 사용하는 근육은 상대적으로 쇠퇴하게 됩니다.2. 언어적인 이유2-1 음절외국인들은 한국어를 이해할 때 자신들의 모국어를 기준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이는 한국인이 외국어를 이해할...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726
대한민국에서의 다문화가족 정의다문화가족의 정의를 알아보자다문화가족이란 무엇일까요?다문화가족의 사전적인 뜻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서로 다른 국적이나 인종, 문화를 지닌 사람들로 구성된 가족-두산백과따라서, 국적이 같아도 인종이 다르거나 문화가 다르다면 다문화가족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올린 다문화관련 글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다문화"가 포괄하는 의미가 넓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넓은 의미로 해석하면 사실 섬사람과 육지사람이 결혼해도 다문화가족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십년을 서로 다르게 살아온 두 사람이 만나서 결혼한다면 보통 다 다문화가족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따라서, 법적으로 대한민국이 정의하는 다문화가족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한민국이 정의하는 다문화가족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다양한 지원과 정책을 위해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재정하여 다문화가족의 정의을 내리고 있습니다.위와 같이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제2조 1항에 속하는 가족이 대한민국에서 정의하는 다문화가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한국에서 정의하는 다문화가족은 다음과 같습니다.[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호제3호에 따른 결혼이민자(F6비자)의 가정[국적법] 제3조와 제4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의 가정여기서 제2조 나)에서 말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국적을 취득한 사람끼리 결혼한 가정을 말합니다.결혼이민자와 한국 국적을 취득한 자그럼 간단히 이야기하면 결혼이민자가 속한 가정 혹은 대한민국으로 귀화한 국적취득자가 속한 가정이 다문화가족이라 할 수 있습니다. 두가지의 차이는 확실합니다. 결혼이민자는 한국에서 무직자로도 장기체류가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살고있는 외국인들의 체류자격은 모두 정확한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결혼이민자는 결혼한 한국인과 사는 것을 목적이라 볼 수 있으므로 무직자인 상태에서도 한국에서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결혼이민자는 한국인에 준하는 대우를 받습니다. 하지만 투표권은 없습니다. 반면 귀화한 사람은 한국인이기 때문에 투표권을 가지고 있습니다.다문화가족의...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592
한국어교육과 다문화사회다문화사회란 무엇일까? 다문화사회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이며 다문화국가란 그런 국가를 말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는 다문화 사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한 국가나 한 사회 속에 다른 인종·민족·계급 등 여러 집단이 지닌 문화가 함께 존재하는 사회.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Naver 지식백과의 의미대로 '다문화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다문화사회라는 용어는 다른 문화를 가진 인종, 민족 등이 유입된 사회를 뜻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한국인끼리도 서로의 문화가 다릅니다. 모든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가 존재하는 곳이 다문화사회입니다. 예를들어 사회 구성원 끼리 성이 다르고 종교가 다른 것도 다문화사회입니다. 따라서 한국은 이미 다문화사회였으며 그 안에 속한 문화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다문화사회에서 한국어교육은 사회를 구성하는 비주류집단과 주류집단 사이의 이해를 통한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교육합니다.​ 따라서 법무부가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사회통합프로그램에서 한국어교육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의사소통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문화때문이기도 합니다. ​언어와 문화는 서로 큰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그것은 저희의 생각과 행동에도 많은 영향을 줍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사피어-워프 가설을 찾아보시면 좋습니다. 스승인 사피어와 제자인 워프는 언어와 사고에 대한 이야기가 대표적이지만 그 안에는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언어와 사고에 대한 사피어-워프 가설을 볼 수 있는 영화도 있습니다. 영화의 원제는 "ARRIVAL"이고 한국에서는 "컨택트"로 개봉하였습니다.​여튼, 한 사회가 같은 언어로 소통한다는 것은 하나된 사회를 위한 사회통합에 중요합니다. ​100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무엇이 한국을 다문화사회로 만드는가? 한국은 어떻게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게 되었을까요?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결론적으로는...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415

한국어강사들의 기본적인 사회적 지위 보장을 위해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