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 정보

한국어교원으로 일하며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황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한국어교원 활동 현황 조사 보고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2024-09-21 22:40
조회
535

한국어교원 현황

한국어교원 활동 현황 보고

한국어교원 활동 현황 조사

목차

제1장. 조사 개요
제2장. 한국어교원 자격 소지자 전수조사
제3장. 한국어교원 자격 소지자 활동 현황 표본조사
제4장.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 전수조사
제5장. 정성조사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부록] 설문지

주요 결과 요약

가. 한국어교원 조사

1) 활동률과 활동 인원 추정

  • 한국어교원 가운데 16.1%가 현재 활동 중이며, 과거 활동 경험이 있는 교원은 19.4%, 활동 경험이 없는 교원은 64.5%로 조사됨. 이 비율을 자격 소지자 전수에 대입하면 57,486명의 16.1%인 약 9,200명이 현재 활동 중으로 추정됨.
  • 한국어 교육기관 조사 결과 현재 국내 기관에 근무하는 한국어교원은 약 7,000명으로 추정되고, 누리집 검색을 통해 확인한 해외 대학 근무 교원은 약 900명, 그 밖의 해외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원이 1,000명 이상으로 추정되어 이를 종합하면 교원에 대한 조사 결과와 교육기관의 조사 결과가 일치함.

2) 활동 기관

  • 교원의 72.3%는 ‘1개’ 기관에서 일하는 반면, 27.7%는 ‘2개 이상’ 기관에서 일하고 있음.
  • 복수로 일하는 기관 수는 평균 2.5개임.
  • 국내 기관별로는 ‘대학’(18.0%)과 ‘대학부설기관’(29.4%)에서 일하는 교원이 전체의 47.4%였으며, 다음으로 ‘가족센터’(14.4%), ‘유초중고’(13.9%), ‘사회통합프로그램’(8.2%) 등의 순임. 복수의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원에게는 ‘주로 활동하는 기관’을 응답받은 결과임.
  • 해외 기관으로는 ‘대학’(28.4%)과 ‘대학부설기관’(3.3%)이 31.7%로 가장 많았고, ‘사설학원’이 14.7%로 두 번째로 많았음. 다음으로 ‘세종학당’(14.5%), ‘한글학교’(10.7%), ‘초중고등학교’(8.2%) 등의 순임.

3) 고용 계약 형태

  • ‘1년 단위 계약’이 35.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개월 단위 계약(10주 포함)’이 25.2%, ‘6개월 단위 계약’이 7.9%로 나타남. ‘무기계약직’은 9.6%, ‘정규직’은 4.5%임.

4) 수업시간 및 수입금액

  • 평균 주간 수업시간은 11.1시간으로 집계됨. 구간별로는 ‘5~10시간’이 30.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1~15시간’이 28.7%, ‘4시간 이하’가 20.1%, ‘16~20시간’이 16.5%, ‘21시간 이상’이 4.5%임.
  • 2021년도 활동을 한 교원을 대상으로 연간 수업시간을 질문한 결과, 연간 평균 424.2시간 수업한 것으로 집계됨. 월간으로 환산하면 35.3시간, 주간으로는 8.2시간임. 연간수입은 평균 1357.2만 원으로 응답됨. 구간별로는 ‘500만 원 이하’가 22.1%로 가장 많았으며, ‘501~3,000만 원’까지의 구간 각각에 10%대로 분포하고 있고, ‘3,001만 원이상’은 4.9%로 나타남.
  • 연간 수업시간 대비 수입금액은 평균 3.2만원으로 한국어교원의 1시간 수업 당 강의비는 대략 32,000원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기관 유형과 직책 등에 따라 편차 존재함. 교원의 수입은 수업시간에 비례하는 구조임.

5) 한국어교원 외 별도 경제활동

  • 현재 활동하는 교원 가운데 별도의 경제활동을 하는 비율은 38.9%로 응답됨.
  • 한국어교원 외 활동하는 직업으로는 ‘교육직’이 53.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사무직’(11.3%), ‘전문직’(9.6%), ‘판매서비스직’(4.6%) 등의 순임.
  • 별도의 경제활동으로 얻는 수입은 평균 1,793만 원으로 집계되었음. 한국어교원으로서 얻는 수입이 많을수록 별도 직업의 수입은 낮은 경향을 보임.

6) 코로나19 영향 여부 및 사항

  • 한국어교원 자격 소지자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해 고용이나 수입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이 36.5%로 나타남.
  • 코로나19로 인해 받은 피해로는 ‘수업시간이 줄어들었다’가 52.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취업 기회를 잃었다’(47.1%), ‘고용 형태가 변화되었다’(21.8%), ‘직장을 잃었다’(17.2%) 순으로 응답됨. (복수응답)

 

나. 활동 현황 표본조사

1)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배경과 목적

  • 현재 한국어교원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여성이 75.5%, 남성이 24.5%이며, 연령별로는 20대 8.8%, 30대 23.8%, 40대 26.0%, 50대 25.3%, 60대 이상이 16.2%로 20대~50대가 골고루 분포함. 학력별로는 박사 학위 취득자가 7.4%, 석사 학위 이상이 45.7%로 전체의 53.1%가 석사 학위 이상의 고학력자로 나타남.
  •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한 가장 중요한 이유로 ‘한국어 교육을 직업으로 삼기 위하여’가 38.3%로 가장 많았으며, ‘은퇴 후 사회봉사 또는 부업으로 삼기 위하여’(23.5%), ‘미래를 대비하는 차원에서’(11.9%), ‘지역사회 봉사 활동(선교 활동 포함)을 위
    해’(10.6%) 등의 순으로 응답됨.
  • 취득 당시 직업은 ‘교육직’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학생’(17.3%), ‘사무직’(14.5%), ‘전업주부’(8.5%), ‘전문직’(6.4%) 등의 순임. 학부 전공은 ‘국어/한국어’가 27.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어학/어문학’(20.0%), ‘사회과학’(14.0%), ‘교육학’(11.9%), ‘인문학’(8.6%), ‘공학’(6.2%) 등의 순임.
  • 최근에 자격을 취득한 교원의 경우 한국어교육 전공자 비율이 높고, ‘한국어 교육을 직업으로 삼기 위하여’ 취득했다는 응답이 높음.
  •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외국어가 ‘있다’는 교원이 51.4%였으며, 언어별로는 ‘영어’가 67.5%, ‘중국어’(23.4%), ‘일본어’(20.5%), ‘베트남어’(2.6%), ‘스페인어’(2.3%), ‘프랑스어’(1.9%) 등의 순임. 외국어 구사 가능 교원의 57.7%가 한국어 수업에 외국어 구사 능
    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함.

2) 한국어 교육 실태에 대한 인식

  •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함. ‘학습자 수준에 맞는 수업 운영’(83.5%)이 되고 있으며, ‘학습자가 수업에 열의 있게 참여’(75.9%)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교재의 적정성’에 대해서도 76.3%가 긍정적인 평가를 했으나 ‘시설/설비 적정성’에 대해서는 이보다 낮은 61.1%가 긍정적으로 평가함.

3) 처우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 현재 활동하고 있거나 과거 활동 경험이 있는 교원에게 한국어교원 처우에 대해 질문한 결과, 급여 및 근무시간과 복지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으며, 교사로서의 존중에 대해서는 적절과 부적절이 비슷하게 응답됨.
  • 한국어교원으로서의 만족도는 교육의 보람 측면은 72.8%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나 그 외 항목은 모두 부정적 응답이 높음. ‘직업의 안정성’(59.6%), ‘수입과 처우’(58.9%), ‘적절한 일자리’(52.6%),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정’(34.0%) 순으로 부정적 응답이 높았음. 전반적 만족도는 5점 평균 3.27점으로 ‘보통’ 수준임.
  • 다른 사람에게 한국어교원이 되기를 추천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55.9%로 부정적임.
  • 연령이 낮을수록 부정적이고, 활동을 많이 하는 교원일수록 추천 의향이 없다고 응답함.

4) 구직 활동

  • 현재 활동을 하지 않는 교원을 대상으로 구직 활동에 대해 질문한 결과, 23.8%가 구직 중이라고 응답함. 과거 활동 경험이 있는 교원의 구직률이 35.9%로 경험 없는 교원(20.1%)보다 높음. 구직 활동 기간은 구직 활동 기간은 ‘1년 이상~3년 미만’이 40.4%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1.9년(22.6개월)으로 집계됨.
  •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응답자에게 그 이유를 질문한 결과, ‘현재는 한국어교원으로 활동할 계획이 없음’이라는 응답이 28.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수입 등 근로조건이 맞지 않아서’(17.5%), ‘기관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에 맞지 않는 것 같아서’(16.7%), ‘내가 원하는 기관의 일자리가 적어서’(14.0%) 등의 순으로 나타남. 현재구직하지 않는 응답자의 62.8%가 향후 한국어교원으로 활동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함.
  • 한국어 교육기관에 취업하기 위한 구직 정보 취득 경로는 ‘인터넷 카페, 블로그 등 누리소통망(SNS)’이 33.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대학, 교육청, 가족센터 등 해당 기관 누리집(홈페이지)’(24.3%),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누리집’(12.5%), ‘사람인, 잡코
    리아, 인쿠르트 등 구직정보 누리집’(12.3%) 등의 순으로 나타남. (1순위 기준)
  • 교육기관의 구인 공고가 근로시간, 임금, 업무 범위 등을 정확하게 공지하고 있냐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50.4%로 나타남. 실제 취업 시 기관의 공고와 실제 근로조건이 다른 경우를 경험했다는 비율이 20.9%로 나타남.

 

다. 한국어 교육기관 조사

1) 학습 목적

  • 기관 담당자에게 수강생들의 학습 목적을 질문한 결과, ‘한국에 이주한 사람으로서 교육을 받기 위해서’가 74.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한국에 이주한 사람으로서 영주권, 장기체류비자를 취득하기 위해서’(39.1%), ‘한국에 이주한 사람으로서 취업, 사
    업을 하기 위해서’(34.2%), ‘한국에 유학한 사람으로서 교육을 받기 위해서’(27.4%),‘한국에 방문한 사람으로서 취업을 하기 위해서’(12.8%) 순으로 응답됨. (복수응답)
  • 기관 유형별로는 대학은 ‘한국에 유학한 사람으로서 교육을 받기 위해서’가 90.2%로 가장 많았으며, 유초중고(85.4%), 가족센터(91.3%), 외국인노동자센터(70.6%)는 ‘한국에 이주한 사람으로서 교육을 받기 위해서’, 사회통합프로그램(79.3%)은 ‘한국에 이주
    한 사람으로서 영주권, 장기체류비자를 취득하기 위해서’가 가장 많음.

2) 강의 수준과 교재

  • 한국어 강의 단계는 ‘6단계’가 19.6%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4.6단계로 집계됨. 기관 별로 대학은 6단계가 54.1%로 가장 많았으며 유초중고는 1단계가 48.8%로 가장 많았음. 강의 단계가 올라갈수록 한국어 난이도가 높아지는 기관이 다수이지만, 단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아 개별 강의 순서에 따라 단계로 기입한 기관들이 있어 단계와 난이도가 일치하지 않음.
  • 전체 강의 단계별 난이도는 ‘초급’이 38.3%, ‘중급’이 41.1%, ‘고급’이 20.3%로 응답됨. 단계별 난이도를 보면 1단계(82.3%)와 2단계(55.1%)는 초급이 가장 많고, 3단계(64.3%)와 4단계(61.5%)는 중급이 가장 많으며 5단계(52.7%)와 6단계(60.4%)는 고급이 가장 많음. 강의단계가 올라갈수록 난도가 높아지는 기관이 다수이지만, 난이도를 주관적으로 판단하거나 개별 강의를 순서에 따라 단계로 기입한 기관들이 있어 단계와 난도가 일치하지 않음.
  • 사용하는 교재는 ‘기 출판된 교재’가 62.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30.8%),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17.8%), ‘세종한국어, 세종한국어 회화’(14.0%) 등의 순임. (복수응답)

3) 학습자

  • 기관별 학습자 수는 평균 76.5명임. 기관 유형별로는 대학이 168.7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외국인노동자센터 98.3명, 사회통합프로그램 60.5명, 가족센터 51.2명, 유초 중고 26.3명임.
  • 설문에 응답한 286개 기관의 학습자 수는 전체 21,868명으로 집계됨.
  • 활동률 표본조사 결과를 현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전체 기관 수에 대입하면 국내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는 학습자 수는 68,199명으로 추정됨.
  • 국가별 학습자 수는 ‘베트남’이 6,91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국’ 5,072명, ‘대한민국 국적자(다문화 가족 자녀 또는 이주 후 대한민국 국적 취득자) 3,540명, ‘일본’1,927명, ‘필리핀’ 1,104명 등의 순임. 출입국관리소의 국적별 체류외국인 현황 통계와
    경향이 유사함.

4) 한국어교원

  • 기관별 한국어교원 수는 평균 7.7명임. 기관 유형별로는 대학이 19.6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외국인노동자센터 5.4명, 사회통합프로그램 5.4명, 가족센터 4.8명, 유초중고 2.6명임.
  • 설문에 응답한 286개 기관의 한국어교원 수는 전체 2,211명으로 집계됨.
  • 활동률 표본조사 결과를 현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전체 기관 수에 대입하면 국내기관에서 활동하는 한국어교원 수는 7,052명으로 추정됨.

 

라. 좌담회

1) 자격증 취득과 교육과정

  • 자격증을 취득한 배경에는 전 세계적으로 한국이나 한국 문화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가 많아질 거라는 기대가 깔려 있음.
  • 교육과정 중 실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함.
  • 비전공자라면 현재의 교육과정만 마치고 곧바로 강의하는 건 어려울 거라는 의견이 있었음.

2) 구직 활동과 처우

  • 한국어교원은 대개 ‘고학력, 외국어, 외국 여행(체재) 경험’이라는 특성이 높다고 생각하나 사회적으로 전문성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한다고 생각함.
  • 자격증을 취득하기 전까지는 취업, 구직의 어려움에 대해 미처 알지 못함. 구인 공고에 세부 정보가 없다는 점을 지적함.
  • 실제 근무 조건을 알게 되어 경제 활동을 포기하거나, 일정 기간 구직 노력을 해 보다가 포기하는 사람도 많음.

3) 교육 현황과 전망

  • 강의 체계가 잘 갖춰져 있고 상대적으로 시급이 높으므로 대학교 어학원을 선호함.
  • 교육기관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급, 계약 기간 등 근무 조건에 대해서는 매우 불만족함.
  • 강사 재교육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강사들에게는 또 다른 부담일 테니 호응은 높지 않을 거라고 예상함.
  • 최대 관심은 더 많은 일자리, 더 나은 처우임.

전문은 아래 pdf를 다운 받으시기 바랍니다.

한국어교원 활동 현황 조사_결과보고서(최종).pdf 


 

전체 0

한국어교원 활동 현황 조사 목차 제1장. 조사 개요제2장. 한국어교원 자격 소지자 전수조사제3장. 한국어교원 자격 소지자 활동 현황 표본조사제4장.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 전수조사제5장. 정성조사제6장. 요약 및 시사점[부록] 설문지 주요 결과 요약 가. 한국어교원 조사 1) 활동률과 활동 인원 추정 한국어교원 가운데 16.1%가 현재 활동 중이며, 과거 활동 경험이 있는 교원은 19.4%, 활동 경험이 없는 교원은 64.5%로 조사됨. 이 비율을 자격 소지자 전수에 대입하면 57,486명의 16.1%인 약 9,200명이 현재 활동 중으로 추정됨. 한국어 교육기관 조사 결과 현재 국내 기관에 근무하는 한국어교원은 약 7,000명으로 추정되고, 누리집 검색을 통해 확인한 해외 대학 근무 교원은 약 900명, 그 밖의 해외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원이 1,000명 이상으로 추정되어 이를 종합하면 교원에 대한 조사 결과와 교육기관의 조사 결과가 일치함. 2) 활동 기관 교원의 72.3%는 ‘1개’ 기관에서 일하는 반면, 27.7%는 ‘2개 이상’ 기관에서 일하고 있음. 복수로 일하는 기관 수는 평균 2.5개임. 국내 기관별로는 ‘대학’(18.0%)과 ‘대학부설기관’(29.4%)에서 일하는 교원이 전체의 47.4%였으며, 다음으로 ‘가족센터’(14.4%), ‘유초중고’(13.9%), ‘사회통합프로그램’(8.2%) 등의 순임. 복수의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원에게는 ‘주로 활동하는 기관’을 응답받은 결과임. 해외 기관으로는 ‘대학’(28.4%)과 ‘대학부설기관’(3.3%)이 31.7%로 가장 많았고, ‘사설학원’이 14.7%로 두 번째로 많았음. 다음으로 ‘세종학당’(14.5%), ‘한글학교’(10.7%), ‘초중고등학교’(8.2%) 등의 순임. 3) 고용 계약 형태 ‘1년 단위 계약’이 35.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개월 단위 계약(10주 포함)’이 25.2%, ‘6개월 단위 계약’이 7.9%로 나타남. ‘무기계약직’은 9.6%, ‘정규직’은 4.5%임. 4) 수업시간...
운영자 2024.09.21 추천 0 조회 535
한국어 듣기평가 시험문제 한국어학당에서는 듣기 시험을 어떻게 낼까요? 이 글에서는 시험 출제 방법과 시험 출제 시 유의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알아 볼 것입니다. 그리고 문제를 출제 하신 후에 듣기 시험용 오디오 파일 편집을 위한 프로그램 추천과 편집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시험 출제 방법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시험 문제를 내는 것에 대해 배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기관 별로 서로 다른 기준과 형식으로 시험문제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다르다고 해도 아주 기본적인 것은 같습니다. 그 기본적인 것을 시험 출제시 유의해야 하는 점과 함께 알아봅시다. 형식 이해하기시험에 앞서 여러분을 채용한 기관에서는 시험문제 출제를 위한 형식을 줄 것입니다. 그 형식에는 대문제, 소문제, 보기가 몇째 칸에 위치해야 하는지, 폰트는 무엇인지, 폰트의 크기는 얼만인지 등에 대한 기본적인 안내가 있을 겁니다. 그것을 먼저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때 제시된 칸은 확인할 곳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한글 문서의 가장 아래에 표시된 칸수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칸 수를 맞춰도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에는 칸수가 맞는 다른 문제의 보기를 보고 상단에 눈금에 맞춰 아래의 단축키로 위치를 맞춰 줍니다. 자간 넓히기 : ‘Alt+ Shift + W’ 자간이 1%씩 넓어집니다. 자간 좁히기 : ‘Alt + Shift + N’ 자간이 1%씩 좁아집니다. 장평 넓히기 : ‘Alt+ Shift + K’ 장평이 1%씩 넓어집니다. ​장평 좁히기 : ‘Alt + Shift + J’ 장평이 1%씩 좁아집니다. 보기...
운영자 2024.07.08 추천 0 조회 543
한국 정부기관에서 발간한 한국어교재 종류와 내용(다운로드 위치 포함)시중에 다양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많은 한국어교재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외에 다른 국가에서도 현지 언어로 발간한 한국어교재도 있습니다. 한국어 교원은 학습자의 환경과 학습자별 한국어 학습 목적에 맞는 교재로 수업을 진행해야 합니다.오늘은 정부기관에서 발간한 한국어교재와 각 교재 별 목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정부에서는 정확한 목적을 가지고 교재를 개발하였으며 교재 외에 듣기자료 등도 제공합니다.대부분 해당 기관에서 무료로 다운 가능하여 학습자의 언어로 구성된 한국어교재들도 많습니다.한국어강사는 한국어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 학습자의 목적에 맞는 한국어교재를 정부에서 무료로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한국 정부기관 별 한국어교재 개발 현황한국 정부기관 중에서 한국어교재를 개발한 정부기관 목록입니다. 국립국어원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설립한 세종학당의 교재를 대부분 개발하였습니다.따라서 그 대상은 일반 외국인 학습자,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정의 자녀 등으로 다양합니다. 국립국제교육원 (교육부)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치는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을 주관하는 국립국제교육원에서는 재외동포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였습니다. 법무부사회통합프로그램을 주관하는 법무부에서는 이민자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였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고용노동부)고용허가제를 주관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한국에서 일하기 위해 입국하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였습니다. 그럼 각 기관에서 개발한 한국어교재의 제목과 다운로드 링크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한국어교재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인 국립국어원에서 개발한 교재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목 수준 내용 특징 교재언어 K-wave 한국어교재 초급 K-pop을 통한 한국어학습 영상자료제공 한국어, 영어 세종한국어 입문 입문 한국어 입문자를 위한 학습교재 훈민정음 창제 원리부터 시작 사이버 한국어 초급 1.2 초급 실생활...
운영자 2024.05.22 추천 4 조회 2210
한국어교육에 유용한 웹사이트한국어교육을 하면서 문법이나 표현 등에 대해 교육자의 직관으로 판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 교육자는 관련 문헌을 찾아보거나 인터넷에 검색하게 됩니다. 문헌에서 찾는 경우, 교육자가 찾는 표현이 예시에 있으면 다행이지만 없는 경우에는 헛갈릴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는 경우에는 정보가 너무 많다보니, 정확히 원하는 것을 찾는 것 자체가 어렵고 신뢰할 수 없는 정보가 많다보니 자칫 잘못된 내용을 학생에게 가르칠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 한국어 교육자는 신뢰할 수 있는 곳에서 그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한국어교원이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는 기본적으로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와 대학교에서 석학들이 운영하거나 만든 사이트입니다. 하지만 이 두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사이트들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블로그나 카카오 티스토리 혹은 지금 여러분이 글을 읽고 있는 본 사이트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참고문헌이나 정보의 출처가 중요합니다.오늘은 여러분께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5곳을 소개하겠습니다. 부디 여러분의 한국어 교육 여정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한국어교원 추천사이트 목록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어휘 내용 검색어휘내용검색 바로가기가장 먼저 소개해드릴 사이트는 어휘 검색이 가능한 국립국어원의 한구어교수학슴샌터입니다. 이곳에서는 어휘만 검색가능합니다.-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문법·표현 내용 검색문법·표현내용검색 바로가기마찬가지 국립국어원인데요, 여기서는 문법과 표현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표준발음 변환기표준발음 변환기 바로가기이 변환기는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과 (주)나라인포테크가 공동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낱말이나 문장을 넣고 확인하기를 누르시면 표준발은과 함께 IPA기호를 알려줍니다.-로마자 변환기로마자 변환기 바로가기이 변환기 또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과 (주)나라인포테크가 공동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낱말이나 문장을 적으시고 "바꾸기"를...
운영자 2024.05.22 추천 1 조회 1263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이수과목 및 학점한국어교육자격증 학위 과정을 통해 취득하고자 하는 선생님들께서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어 학위 과정 간 놓침없이 필요과목을 수강하시어 졸업 후 학위와 함께 심사 청구하여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에 문제가 없으시길 바랍니다.학사학위 전공 및 복수전공자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 영역 필요학점 심사기준 교과목 예시 1. 한국학 6학점 한국어의 다양한 특징과 현상, 한국어의 음운ㆍ문법ㆍ어휘ㆍ의미ㆍ화용ㆍ역사ㆍ어문규범 등의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국어학개론,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의미론, 한국어화용론, 한국어사, 한국어어문규범 등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6학점 일반 언어의 보편적인 구조와 특징, 음운ㆍ문법ㆍ어휘ㆍ의미ㆍ화용ㆍ역사 등의 일반언어학 하위 분야 내용 또는 일반언어학의 연구 결과를 실용적인 문제에 적용하는 응용언어학 하위 분야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응용언어학, 언어학개론, 대조언어학,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외국어습득론 등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24학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수법 전반에 해당되는 내용, 한국어의 음운ㆍ문법ㆍ어휘ㆍ의미ㆍ화용ㆍ역사ㆍ어문규범 등의 교육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한국어교육개론,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평가론, 언어교수이론, 한국어표현교육법(말하기, 쓰기), 한국어이해교육법(듣기, 읽기),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교육론, 한국어한자교육론, 한국어교육정책론, 한국어번역론 등 4. 한국문화 6학점 국어교육에 필요한 한국의 역사ㆍ민속ㆍ철학ㆍ정치ㆍ경제ㆍ사회ㆍ지리ㆍ예술 등의 내용으로 주로 이루어지는 것 한국민속학,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의 전통문화, 한국문학개론, 전통문화현장실습, 한국현대문화비평, 현대한국사회, 한국문학의 이해 등 5. 한국어실습 3학점 한국어교육을 실제로 하거나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을 참관하는 등 한국어교육 실습을 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것 강의 참관, 모의 수업, 강의 실습 등 계 45학점   학사학위 부전공자 (한국어교원자격증 3급) 영역 필요학점...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626
온라인으로 한국어교원 자격증 취득하기온라인으로 양성과정이나 사이버대학교 혹은 디지털대학교를 통해 한국어교육 학위는 물론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단, 아직까지는 온라인으로 취득가능한 교육학 학사나 석사 학위는 없습니다. 모두 문학사로 나온다는 것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매년 수만 명의 한국어교원이 배출되는 가운데, 경쟁력을 갖추고자 다른 자격증도 많이 취득하고 있습니다.그중에 단연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은 사회통합프로그램 강사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조건이므로 다른 자격에 비해 더욱 한국어교원 자격증과 상승효과가 좋습니다.온라인으로 한국어교원 자격증과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 동시 취득하기온라인으로 한국어교원 자격증과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기관은 아래와 같습니다.대학(원)학과(전공)과정건양사이버대학교다문화한국어학과대학대구사이버대학교한국어다문화학과대학원광디지털대학교한국어문화학과사회복지학과대학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한국어교육학과대학고려사이버대학교사회복지학과한국어․다문화학부 한국어교육전공한국어․다문화학부 다문화․국제협력전공상담심리학과대학화신사이버대학교글로벌 교육문화학부 한국어교육학과상담복지학부 상담심리학과글로벌 교육문화학부 실용외국어학과글로벌 교육문화학부 영상콘텐츠학과글로벌 교육문화학부 융합스포츠지도학과대학세종사이버대학교한국어학과아동가족상담학과사회복지학과상담심리학과대학서울사이버대학교한국어문화학과대학경희사이버대학교한국어문화학과 이민다문화전공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전공대학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다문화․심리상담학과한국어학부대학숭실사이버대학교인문예술학부 한국어교육학과휴먼서비스학부 평생교육상담학과대학 위 대학교에서는 한국어교육 학사학위와 함께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어교원 자격증 2급과 법무부의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습니다.한국어교원 자격증 짝궁한국어교원 자격증과 잘 어울리는 자격증 및 자격은 "다문화사회 전문가" 뿐아니라 다양합니다.관광통역안내사, 문화예술교육사, 태권도 단증, 외국어자격증,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 등입니다.더 자세한 내용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은 누구에게 적합한지 또 왜 필요한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일반대학교에서 한국어교원 자격증과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을 취득하고자 하시는 분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증 취득가능한 과목 개설 대학(원)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513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증 취득가능한 과목 개설 대학(원)문화체육광광부의 '한국어교원' 자격증과 가장 잘 어울리는 자격증을 뽑으라면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증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사실 '다문화사회 전문가'라는 자격증은 없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사회통합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법무부에서 인정하는 '다문화사회 전문가'는 일련의 전공 과목을 이수하고 졸업한 사람이 법무부에서 추가로 요청하는 이수교육을 받아 그것을 인정받는 것으로 자격증이 아니라 수료증의 형태로 발급됩니다.또한, 이 수료증은 법무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이수과정을 진행한 기관에서 발행합니다.보통이 기관은 한국어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다문화교육학과 등 관련학과가 개설된 대학교, 대학원이 법무부의 인준을 받아 운영합니다.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 관련 과목 개설 대학(원) 공고「출입국관리법」제39조제3항, 「출입국관리법시행령」제51조, 「출입국관리법시행규칙」 제53조의2제2항제2호 가목 및 별표 2, 「사회통합프로그램 다문화사회전문가 인정 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3조에 따른 다문화사회 전문가 양성 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원)을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연번대학(원)학과(전공)과정1성결대학교프라임대학원 행정학과 이민정책전공일반대학원 행정학과 이민정책전공대학원2계명대학교정책대학원 이민다문화사회학과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3동아대학교국제전문대학원 국제학과 글로벌다문화전공대학원4목원대학교신학대학 신학과일반대학원 한국어다문화학과대학대학원5성산효대학원대학교HYO효교육학과 다문화전공대학원6공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7선문대학교미래융합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일반대학원 한국학과대학원8전남대학교일반대학원 디아스포라협동과정대학원9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10인하대학교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일반대학원 다문화학전공교육대학원 다문화상담교육전공정책대학원 이민다문화정책학과대학원11명지대학교산업대학원 산업시스템경영학과 국제교류경영전공대학원12동국대학교일반대학원 국제다문화학과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다문화융합교육전공대학원13중앙대학교문화다양성 융합전공 과정행정대학원 다문화정책학과대학대학원14건양사이버대학교다문화한국어학과대학15한국외국어대학교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16부산외국어대학교한국어문화학부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대학대학원17광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18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19경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20대구사이버대학교한국어다문화학과대학21대구가톨릭대학교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프란치스코칼리지사회복지대학원 다문화학과일반대학원 다문화학과대학대학원22서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23강릉원주대학교보건복지대학 다문화학과일반대학원 다문화학과대학대학원24원광디지털대학교한국어문화학과사회복지학과대학25건국대학교교육대학원 상담학과 다문화소통교육전공대학원26전주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학과 평생교육․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27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한국어교육학과대학28중원대학교평생학습대학원 평생교육학과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29평택대학교다문화가족복지 융복합전공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사회복지대학원 아동청소년복지학과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일반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대학대학원30고려사이버대학교사회복지학과한국어․다문화학부 한국어교육전공한국어․다문화학부 다문화․국제협력전공상담심리학과대학31우석대학교경영행정문화대학원 다문화학과대학원32동덕여자대학교글로벌 다문화학 연계전공대학33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34화신사이버대학교글로벌 교육문화학부 한국어교육학과상담복지학부 상담심리학과글로벌 교육문화학부 실용외국어학과글로벌 교육문화학부 영상콘텐츠학과글로벌 교육문화학부 융합스포츠지도학과대학35조선대학교글로벌인문대학 다문화학융합전공일반대학원 문화학과 이민・다문화정책전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대학대학원36군산대학교일반대학원 다문화학과대학원37세종사이버대학교한국어학과아동가족상담학과사회복지학과상담심리학과대학38경북대학교국제대학원 국제문화학과 다문화학전공대학원39서울사이버대학교한국어문화학과대학40한성대학교크리에이티브 인문예술대학 이민・다문화트랙일반대학원 국제이주협력학과대학대학원41한일장신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 다문화복지학과대학원42숙명여자대학교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다문화정책전공대학원43경희사이버대학교한국어문화학과 이민다문화전공사회복지학부 사회복지전공대학44상명대학교일반대학원 한국학과 한국이민통합전공대학원45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다문화․심리상담학과한국어학부대학46중부대학교글로벌한국어 전공대학47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사회복지학과 다문화복지 전공대학원48광운대학교교육대학원 평생다문화교육전공대학원49한양대학교사범대학 일반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대학원50경남대학교사회학과대학51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미디어비즈니스학과 미디어한국어교육전공과정대학원52세종대학교교육대학원 한국어전공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운영자 2024.05.22 추천 0 조회 539
온라인 한국어수업을 위한 플랫폼온라인으로 한국어수업하기 국내 한국어 강사는 매년 8000명이 넘게 배출됩니다. 그러나 국내에 한국어 교원들의 일자리는 한정적입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일이 시간제일 뿐 아니라 경력까지 요구합니다. 따라서 한국어 교원들은 해외 취업이나 해외 파견에 관심이 가게 됩니다. 그러나 가정이 있는 선생님들은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한국어 교원들이 온라인으로 경력을 시작합니다.1편에서는 온라인 한국어강사 플랫폼 중에 어메이징토커(Amazing Talker),  버블링(verbling), 프리플라이(Preply), 카페토크(Cafetalk), 슈퍼프로프(Superprof)에 대해 알아봤습니다.2편에서는 얄리얄리(YalliYalli), 살랑(Sarlang), 아이토키(Italki), 테이크레슨스(Takelessons), 세이(Say)를 비교하였습니다.오늘 3편에서는 버발플래닛(Verbalplanet), 튜토루(Tutoroo), 티처온(Teacheron), 챕터코리안(Chapter Korean), 라이브링구아(Live lingua), 마이링고트립(My lingo trip)을 비교하겠습니다. 비교는 이전 편들과 마찬가지로 플랫폼 수수료와 다른 플랫폼과는 다른 해당 플랫폼만의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버발 플래닛(Verbal planet)버발플래닛은 다른 언어 교육 플랫폼의 시초격으로 오래된 온라인 언어 교육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그만큼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다른 한국어 강의 플랫폼처럼 자신이 수업 가능한 시간을 체크하면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수업 신청을 합니다. 버발플래닛 수수료 버발플래닛 가입[/caption]버발 플래닛에서 한국어강사는 다른 플랫폼들처럼 본인이 원하는대로 강의료를 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업이 끝나면 그 돈을 그대로 다 받으시게 됩니다. 그럼 수수료가 없다고 볼 수 있는 것일까요? 특징을 보면 고개를 갸웃하게 됩니다.버발플래닛 특징다른 플랫폼들은 강사가 정한 강의료에서 수수료를 책정하지만 버발플래닛은 강사가 정한 강의료 위에 자신들의 수수료를 더 해서 학생에게 청구합니다. 그러나 이게 몇퍼센트인지 얼마인지는 홈페이지 어디를 찾아봐도 알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외국인 선생님들도 버발플래닛 공식 페이스북에 댓글을 통해 수수료에 대한 문의를 많이...
운영자 2024.05.22 추천 1 조회 701

한국어강사들의 기본적인 사회적 지위 보장을 위해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을 지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