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으로 일하며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황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훈민정음, 한글 역사 이야기 - 한글학회
훈민정음, 한글 역사 이야기
본 내용은 북미한국어교육학회에서 주최한 세미나에서 한글학회의 김주원학회장님께서 '사진과 기록으로 다시 보는 훈민정음 - 한국어 교육자가 꼭 알아야 할 한글 역사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진행하신 강의를 요약한 것입니다.
1. 훈민정음 창제(1443)의 목적
한국어와 한글
아래 문장의 틀린 부분은 무엇인가요?
- 여권에 내 이름이 영어로 적혀 있지.
- 몽골에 갔더니, 모두 러시아어로 되어 있던데.
- 한글은 그 우수성으로 인하여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한글이 AI시대 세계인의 언어가 되도록 지원하겠습니다.”
정답과 해설은 댓글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훈민정음의 의미
훈민정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글자 이름: 정음, 언문, 반절, 아침글, 한글
책의 이름: 해례본, 언해본
훈민정음 창제 전후, 세종의 편민정신
- 살부 사건 발생, 효제孝悌를 돈독히 하고, 풍속風俗을 후하게 하라(1428, 세종10)
- 삼강행실도, 앙부일구(1434, 세종16)
- 친제親制 훈민정음(1443, 세종25)
- 최만리 반대 상소(1444)에 대한 대응
- 훈민정음 반포頒布(1446년, 세종 28)
- 언해 삼강행실도 발간(1484, 성종15)
세종은 삼강행실 교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우려를 표했다.
- 오히려 어리석은 백성들이 아직도 쉽게 깨달아 알지 못할까 염려하여, 그림을 붙이고 이름하여 《삼강행실(三綱行實)》이라 하고, 인쇄하여 널리 펴서 거리에서 노는 아이들과 골목 안 여염집 부녀들까지도 모두 쉽게 알기를 바라노니, …… 다만 백성들이 문자를 알지 못하여 책을 비록 나누어 주었을지라도, 남이 가르쳐 주지 아니하면 역시 어찌 그 뜻을 알아서 감동하고 착한 마음을 일으킬 수 있으리오.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속시원한 기록이 없으므로 살부사건과 삼강행실 교서를 통해 한글 창제에 대한 이유를 추론할 수 있다.
최만리 등의 반대 상소문
오직 몽골ㆍ서하ㆍ여진ㆍ일본ㆍ서번과 같은 무리들만이 각각 제 글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모두 오랑캐들만의 일이라 말할 가치도 없습니다. ... 이제 따로 언문을 만들어 중국을 버리고 스스로 오랑캐와 같아진다면 이것이 이른바 소합향을 버리고 쇠똥구리의 환약을 취하는 것이니 어찌 문명의 큰 해가 아니겠습니까? (실록 1444년 2월)
최만리 등 반대 상소문에 대한 꾸짖음 - 편민 정신
- (설총이) 이두를 제작한 본뜻이 백성을 편안하게 하려 함이 아니하겠느냐. 만일 그것이 백성을 편안하게 한 것이라면 이제의 언문도 역시 백성을 편안하게 하려 한 것이다.
- “내가 만일 언문으로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면 어리석은 남녀가 모두 쉽게 깨달아서 충신·효자·열녀가 반드시 무리로 나올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
창제 목적의 중요도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당시 국어의 전면적 표기 (국지어음 國之語音, 편민 便民)
2. 백성 계몽과 교화(훈민 訓民)
3. 한자음 정리 및 외국어 표기 (정음 正音, 음소문자 Alphabetic)
교육자들은 이 중요도 순서를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이다.
2. 책 훈민정음(訓民正音)
훈민정음(책)의 문화사적 위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하나의 민족문화를 초월하는 뛰어난 사회적, 문화적 또는 정신적 가치를 가지는 자료(한국은 현재 18종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있다.)
책 훈민정음(두 종류)
해례본(한문본, 원본), 언해본(월인석보 권두본)
훈민정음 해례본
해례본은 5解 (制字解, 初聲解, 中聲解, 終聲解, 合字解)와 1例 (用字例 )로 이루어져있다.
1446년 출판 > 1940년 출현 > 1962년 국보 70호 지정 > 1997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훈민정음의 구성
세종임금 서문과 예의 1~4
집현전 신하의 해례 5~50
정인지 서문 30~33
현재 남은 해례본은 간송 전형필의 간송본과 상주본이 있다.
간송본은 한글을 앞에 2 장이 없으며 복원하면서 위아래를 잘라 버렸다. 상주본은 잘린 부분이 없고 낙서는 적지만 오염이 심하며 앞의 8장이 없다.
3. 글 훈민적음 즉 한글
훈민정음(한글)의 문자사적 위치
- 백성을 위한 글자
- 세계 최초의 창제된 글자
- 세계 유일의 창제자와 창제 원리를 알 수 있는 글자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 철학적 배경: 성리학(성리대전)
- 언어학적 배경: 중국 성운학聲韻學(<인도음성학)
- 문자론적 배경: 몽골자 등의 음소문자
- 사회적 배경: 애민정신, 국민계몽
- 지정학적, 정치적 배경: 주위의 국가들이 고유의 문자를 가지고 있다.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발음기관 상형으로 기본 자음을 만들고 소리가 세어짐에 따라 획을 더 했다.
한글의 특성
1. 한글은 그 창제자와 연대, 창제의 원리가 밝혀진 유일한 문자이다. [세종대왕-1443년-편민정신]
2. 한글은 독창적인 문자로서 자음은 사람의 발음기관을 본떠서 기본 5자를 만들었으며(아-설-순-치-후음), 소리가 세어짐에 따라 획을 더했다.
3. 모음은 삼재(三才) 즉 천-지-인을 본떠서 기본자를 만들고 이 글자를 합성하여 나머지 모음자를 만들었다.
4. 음소문자로서 처음부터 자음자와 모음자를 온전히 갖춘 문자이다.
한글은 배우기 쉽고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음을 가지고 있으며 조합형이라 디지털 시대에 적합합니다. 한글이 우수하다고해서 다른 나라의 문자가 하등한 것은 아닙니다. 모든 문자는 그 사용 언어 또는 문화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나름의 우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 많고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어강사들의 기본적인 사회적 지위 보장을 위해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을 지지합니다.
- 여권에 내 이름이 영어로 적혀 있지 -> 여권에 내 이름이 로마자로 적혀 있지
- 몽골에 갔더니, 모두 러시아어로 되어 있던데. -> 몽골에 갔더니, 모두 러시아글자로 되어 있던데
- 한글은 그 우수성으로 인하여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훈민정음 책(해례본)은 그 우수성으로 인하여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한글이 AI시대 세계인의 언어가 되도록 지원하겠습니다.” -> "한글이 AI 시대 세계인의 문자가 되도록 지원하겠습니다." 혹은 "한국어가 AI 시대 세계인의 언어가 되도록 지원하겠습니다."